사업안내
홈
- 목재문화 기반구축
- 제도기반구축
- 목재문화지수
- 현재 위치사업안내
01.
목재문화지수 측정사업 소개
조사근거
‘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’ 제11조 및 시행령11조
조사목적
국민 생활에서 목재의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도록 목재 이용확대 및 목재문화진흥을 도모하여 목재산업발전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의 기초 및 근거 자료 활용
02.
목재문화지수(WCI)의 정의
STEP.1 목재(Wood)
STEP.2 문화(Culture)
STEP.3 지수(Index)
STEP.4 목재문화지수(WCI)
목재(Wood)
- 원목, 제재목, 간벌재, 주벌재, 가공재, 비가공재 등 재료 및 범위에 있어 나무로부터 생산된 모든 재료
문화(Culture)
- 한 사회의 구성원이 인간에 의해 배우고 전달받아 온 정신적 또는 물질적인 모든 산물
지수(Index)
- 어떤 개념을 표시하거나 측정한 수치로 개개의 항목을 측정한 지표를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하여 계량한 수치
목재문화지수(WCI)
- 목재문화척도를 100점 만점으로 개량화한 수치
한 사회의 구성원인 인간이 목재를 통하여 배우고 전달받아온 정신적, 물질적인 모든 산물의 총체를 100점 만점으로 개량화한 수치로
- 1목재이용기반구축 지표
- 2목재이용활성화 지표
- 3목재문화인지도 지표 등 3개의 상위 지표와 17개 하위지표로 구성됨
03.
목재문화지수(WCI)의 구성
-
STEP.1
목재이용 기반구축
- 1목재의 생산
- 2목재관련정책 및 제도
- 3목재 기반업체수
- 4목재 생산업체수
- 5목재사용기반
- 6목재문화 기반 시설
-
STEP.2
목재이용 활성화
- 1목재사용 권장 홍보활동
- 2공공목조건축 비율
- 3민간목조건축 비율
- 4예산지원
- 5목재이용 기관 및 단체수
- 6인적자원
- 7목재문화체험장 운영실적
-
04.
목재문화지수 측정사업 보고서